전체메뉴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산림청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모바일버튼
뒤로가기

100대 명산 완등 도전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미탄면 마하리 산 1

백운산(정선)
  •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평창군 미탄면

  • 883.5 m

특징 및 선정이유

동강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어 경관이 아름답고, 조망이 좋으며 생태계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흰구름이 늘 끼어 있는데서 산 이름이 유래, 오대산에서 발원하는 오대천과 조양강(朝陽江)을 모아 남한강으로 흐르는 동강 및 천연기념물 제260호로 지정(1979년)된 백룡동굴(白龍洞窟)이 유명


개관

[빼어나면서도 웅장한 바구다리산]
댐이 건설된다고 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던 동강변의, 동강이 보이는 산이다. 산간 감입곡류(嵌入曲流)의 극치를 내려다볼 수 있으며 산행 전후에 래프팅을 즐길 수도 있다.
남쪽으로 뻗어내리는 용가능선, 서남향의 칠족령능선이 강 건너 소동마을의 누더기 같은 밭자락들, 구하도(舊河道)가 만들어놓은 섬 아닌 섬을 움켜쥐고 있는 듯한 형세다. 용가능선은 개발처럼, 갈수록 낮아지고 좁아지다 끝부분이 넙적한 모양인데 칠족령능선은 여섯 봉우리들이 담장 위 유리조각처럼 뾰족뾰족하다.
정상에 서면 굽이지는 동강의 흐름이 속속들이 보인다. 건너편의 완택산, 고고산, 계봉, 곰봉은 물론 멀리 함백산까지 조망된다.
하지만 석회암 산이어서 칼로 자른 듯한 벼랑이 많다. 지역 사투리로 뼝대라고 부르는데 종종 실족사고가 일어나니 각별히 조심해야한다.
백운산을 바라보는 망대는 소동마을 남쪽의 고성산성(425m)이다. 고구려가 쌓은 것으로 보이는 돌성으로 일대의 비경 감상은 물론, 이런 산간협곡에 왜 성을 쌓았는지 추측할 여지도 준다.


상세정보

동강을 끼고 있는 백운산. '태고의 신비'와 '천혜의 비경'까지 갖춘 동강은 강원도 산 속 깊숙이 숨어서 말없이 흘러가고 있다. 그래서 일까. 백운산 산행은 마치 신선이 된 듯한 기분을 선사해준다.
백운산 산행을 위해서는 동강을 건너야 한다. 그리고 산행을 마쳤을 때도강을 건너와야 한다. 하지만 물을 건너지 않고 아예 칠족령에서 문희 마을로내려선뒤 보트를 타고 섭새까지 내려오는 방법도 있다. 산과 강을 동시에즐기는 코스다. 하지만, 백운산 산행은 점재 마을에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가볍게 몸을 풀고, 자신에게 맞는 등산코스 선택
    • 등산화와 등산지팡이
    • 출입통제구역 입산금지
    • 일교차가 크므로 여벌옷 준비
    • 해지기 2시간전 산행 마치기
    • 개인질환이 있을경우 상비약챙기기
    • 나홀로 산행시 가족에게 행선지 알리기
    • 낙석주의 표지판 접근금지